
|
1.
|
다음 중 상태 표시줄에 표시할 수 없는 것은? (10점) |
| ①서명 | |
| ②Num Lock | |
| ③합계 | |
| ④시트 이름 | |
| 해설 | |
| 시트 이름은 시트 탭에 표시됩니다. |
|
2.
|
다음 중 현재 선택 된 셀 주소가 표시되는 곳의 명칭은? (10점) |
| ①워크시트 | |
| ②이름 상자 | |
| ③시트 탭 | |
| ④상태 표시줄 | |
| 해설 | |
| 이름 상자에는 현재 선택된 셀의 주소나 정의해 놓은 이름이 표시됩니다. |
|
3.
|
다음 중 셀 포인터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키가 아닌 것은? (10점) |
| ①화살표 키 | |
| ②SPACE 키 | |
| ③[Home] 키 | |
| ④[Page Up] 키 | |
| 해설 | |
| 화살표 키는 화살표 방향의 이웃한 셀이 선택되고, [Home] 키는 해당 행의 [A] 열의 셀이 선택되며, [page Up] 키를 누르면 이전 페이지의 셀이 선택됩니다. |
|
4.
|
다음 중 셀 안에서 줄 바꿈을 입력할 때 [Enter] 키와 함께 사용하는 키는? (10점) |
| ①[Shift] 키 | |
| ②[Ctrl] 키 | |
| ③[Alt] 키 | |
| ④[Tab] 키 | |
| 해설 | |
| 셀의 특정 지점에서 텍스트의 새 줄을 시작하려면 줄 바꿈을 입력할 위치에 커서를 표시한 후, [Alt] + [Enter] 키를 누릅니다. |
|
5.
|
다음 중 맞춤에서 [맞춤] 탭의 '텍스트 조정' 항목에서 지정할 수 없는 것은? (10점) |
| ①텍스트 줄 바꿈 | |
| ②텍스트 방향 | |
| ③셀에 맞춤 | |
| ④셀 병합 | |
| 해설 | |
| 텍스트 방향대로는 '텍스트 방향' 항목에 나타납니다. |
|
6.
|
다음 중 먼저 연산되는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? (10점) |
| ①(+) → (*) → (&) → (<) → (:) | |
| ②(:) → (*) → (+) → (&) → (<) | |
| ③(<) → (*) → (&) → (+) → (:) | |
| ④(:) → (+) → (*) → (&) → (<) | |
| 해설 | |
| 연산자별 우선 순위는 (:) → 음수 기호(-) → 백분율 (%) → (*) 및 (/) → (+) 및 (-) → (&) → 비교 연산자 순입니다. |
|
7.
|
차트 종류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? (10점) |
| ①세로 막대형 차트 : 가로 축에 항목, 세로 축에 값 표시 | |
| ②원형 차트 : 워크시트의 한 열이나 행에 있는 데이터의 비중 표시 | |
| ③주식형 차트 : 주가 변동을 나타내는데 주로 사용 | |
| ④도넛형 차트 : 워크시트의 한 열이나 행만 데이터로 사용 | |
| 해설 | |
| 도넛형 차트는 여러 겹의 모양이 사용될 수 있어 주로 여러 열이나 행에 있는 데이터의 비중을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. |
|
8.
|
[함수 인수] 대화상자 안에서 다른 함수를 중첩으로 사용하려 할 때 사용하는 부분은? (10점) |
| ①함수 목록 상자 | |
| ②[수식 입력줄]의 [함수 삽입] 아이콘 | |
| ③[함수 인수] 대화상자의 [대화상자 축소] 아이콘 | |
| ④[수식 입력줄]의 [확대] 단추 | |
| 해설 | |
| 수식 입력 중, 또는 [함수 인수] 대화상자가 나타난 상태에서 다른 함수를 중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[함수 목록 상자]를 사용합니다. |
|
9.
|
다음 중 인수가 없는 함수는? (10점) |
| ①DAY | |
| ②TODAY | |
| ③WEEKDAY | |
| ④MONTH | |
| 해설 | |
| TODAY 함수와 NOW 함수는 각각 현재 날짜와 현재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는 함수로 인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 |
|
10.
|
다음 중 배열 수식을 확정할 때 사용하는 키가 아닌 것은? (10점) |
| ①[Shift] 키 | |
| ②[Ctrl] 키 | |
| ③[Alt] 키 | |
| ④[Enter] 키 | |
| 해설 | |
| 배열 수식은 입력 후 [Ctrl] + [Shift] + [Enter] 키를 눌러서 확정합니다. |
'학습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진행평가]빅데이터의 개념이해와 분석역량강화 (0) | 2022.12.20 |
|---|---|
| [최종평가]언제, 어디서나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 Excel 2016 (0) | 2022.12.20 |
| [최종평가]응답하라 재무(財務), 아는 만큼 기업경영이 보인다! (0) | 2022.12.20 |
| [진행평가]응답하라 재무(財務), 아는 만큼 기업경영이 보인다! (0) | 2022.12.19 |
| 2022 정보처리기사 (0) | 2022.04.13 |